교합 안정장치는 관절을 안정시키고 치아를 보호하며, 거상근을 이완시킬 목적으로 사용합니다. 단순히 장치를 만들고 착용하는것만으로는 효과가 없으며, 지속적으로 체크를 하여 조절하시는것이 중요합니다. |
|
|
|
|
|
|
장치치료의 합변증으로는 치아우식증, 치은염, 구취, 발음곤란, 교합변화, 장치에 대한 심리적 의존등이 있으며, 이중 가장 심각한 합병증은 장기간에 걸쳐 장치를 항상 사용하는 경우 나타나는 교합변화 입니다. 그러므로 치료가 완료될때까지 병원에 내원하시어 전문의 관리가 필요합니다. 장치의 사용은 수면시간에 한하여 사용하시는것이 좋습니다 |
|
 |
스플린트의 종류 |
 |
CR스플린트 |
ARS스플린트 |
|
|
|
 |
스플린트의 작동원리 |
|
|
|
i) 과두가 안정 |
ii) 정상적 근기능강화 |
 |
 |
1) 우측 교합접촉만이 있을 때 거상근의 활동은 치아접촉 부위를 지점(fulcrum)으로 사용하여 하악의 추축작용(pivot)를 유도한다. 이로 인하여 좌측 악관절에 가해지는 힘은 증가하고 우측 악관절에 가해지는 힘은 감소한다.
2) 양측성 치아접촉이 존재할 때 하악의 안정성이 달성 된다 |
내측익돌근은 교근 천부가 하악골에 가해지는 강한 mechanical load와 길항하여 좌우 밸런스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
|
|
iii) 치아파절 및 교모에서 치아보호 -> 교합분산으로 치주조직 유래자극X |
|
 |
|
|
|
|
i) 관절원판 위치회복 ii) 개폐구시 잡음경감 iii) 관절 압력 경감 iV) 저작근 긴장완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