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관절 초기증상이나 턱근육장애시 치료방법입니다.
장치치료가 들어갈경우 초기에는 장치치료만 진행합니다
환자분의 상태에 따라 물리치료, 장치치료와 함께 병행하기도 합니다
|
|
|
|
 |
|
|
|
|
 |
소염제, 근육이완제, 항우울제, 스테로이드 |
 |
약물이 용하는 부위에 따라 3종류로 나뉘어 진다. |
 |
TMD에서 사용하는 약물은 작용부위에 따라 크게 다음과 같이 3종류로 분류된다. |
|
|
말초에서 작용하는 약물 |
① 말초에서 prostaglandin의 생합성을 억제하는 소염진통제 |
|
중추신경계(CNS:뇌와 척수)에서 작용하는 약물 |
② 척수반사를 억제하여 근긴장을 줄여주는 근이완제 |
③ 중추의 하행성 동통억제계(decending pain inhi-bition system)의 활성을 높여주는 항우울제 |
|
|
|